삶으로 그리스도를 나타내자!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갈라디아서 2:20)
2. 규칙 중심의 사회체계로서의 가족
모든 정서적 문제가 가족 내에서 발생하며,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 중 몇몇 다른 구성원들에게도 문제가 나타난다. 자녀들과 부모들. 모든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희생양을 만들고 또 구원해 주기도 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모두가 서로 비극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명령 받을 수 없는 일(자발적인 사람이 되라)을 하라고 명령하는 것은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것’이다. 나는 생후 초기 양육자가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따라 나의 자아상은 형성된다. 나를 돌보는 사람의 눈을 통하여 바라본 그대로 나는 나 자신을 보고 느끼게 된다. 가족은 모빌처럼, 한 부분을 건들리면 다른 부분들이 모두 움직이는 것처럼 서로 연결된 상호관계를 맺고 있다.
F : 가족의 관계는 인과 관계가 아니라 순환적이다.(상호의존)
A : 가족은 전체적인 유기체다. (모빌)
M : 결혼의 건강이 가족의 건강이다.
I : 모든 가족은 개인의 역할이 있고. 아이는 호기심으로 배우는 것이며. 건강한 가족에서는 역할들이 열려 있다. 즉 유연성이 있다.
L : 모든 가족은 체계를 지배하는 법칙과 규칙을 가지고 있다. 가사, 건강. 축하의식, 재정 문제. 사생활 등
I : 가족의 긴장은 종종 충돌하며 연결되어 있다.
E : 가족구성원은 서로 보완해 준다. 가족은 열려 있거나(항상 부드럽게 움직임), 닫혀 있다(얼어붙거나 굳어 있음)
S : 가족은 모든 사회체계처럼 생산성. 정서적 안정. 좋은 관계, 자극, 화합을 필요하다.
3. 기능적인 가족체계의 프로필
가족은 ‘생존과 성장’을 위한 단어다. 가족은 여러 구성원들의 정서적 필요를 위해 무엇을 공급해 주는 토양이다. 건강한 가족은 부모를 포함한 각 구성원들의 성장과 발달을 제공한다. 가족은 견고한 자존감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가족은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단위이며, 사회가 존속되기 위한 결정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가족은 아이들의 성품과 도덕적 가치관이 형성되는 모형이다.
▣ 인간의 기본적인 힘-① 느낄수 있는 힘(두려움-위험지대를 알아 챌 수 있는 힘, 슬픔-상실을 슬퍼하는 힘, 죄책감-양심을 형성하는 힘, 수치심-유한하고 제한된 존재임을 알려주는 힘, 기쁨-새롭고 무한한 힘) ②결단 할 수 있는 힘 ③상상할 수 있는 힘 ④알고자 하는 힘
▣ 행복하고 지속적인 결혼은 지능지수보다는 감성지수에 의해 결정된다. 감성지수의 특징은 ‘자기 인식, 내면의 자기 분화. 공감. 지속성. 그리고 사회기술’이다.
▣ 건강한 가족의 5가지 자유 - ①과거에 있었으며, 앞으로 있거나 있어야만 하는 것보다 지금 여기에 있는 것을 보고 들을 수 있는 자유 ②생각해야만 하는 것보다 생각나는 것을 생각 할 수 있는 자유 ③느껴야만 하는 것 보다 느껴지는 것을 느낄수 있는 자유 ④허락을 받으려고 기다리지 않고, 알고 싶은 것을 물어 볼 수 있는 자유 ⑤안전을 선택하며 항상 조심하는 것보다 자기 자신을 위하여 위험을 무릅 쓸수 있는 자유.
▣ 건강한 가족들은 남편과 아내의 태도, 대화 행동에 대한 규칙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그 차이점을 이해하고 협상한다. 누가 틀리고 누가 맞는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은 서로가 다를 뿐이라는 것을 안다. 갈등이 있다는 것은 친밀감의 표시이며, 가족이 건강하다는 표시다.
▣ 기능적인 좋은 규칙들
문제를 인정하고 해결한다. 다섯 가지 자유를 장려한다. 모든 관계를 대화로 한다. 대화는 구체적, 세부적. 행동적이다. 가족 구성원들은 최대한 자신의 필요를 채운다.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다르다. 부모는 자신이 말한 대로 행한다. 가족 역할은 선택적이고 유연하다. 분위기가 재미있고 자발적이다. 규칙들은 중요하며 이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 다른 사람의 가치를 침범하면 죄책감을 갖는다. 실수는 용서받고 배움을 위한 도구로 여긴다. 가족체계는 개인의 안녕을 위해서 존재한다. 부모는 자신의 건강한 수치심과 접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