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그리스도를 나타내자!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갈라디아서 2:20)

자료실

가족이란

가족

『가족』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너무나 친근하고 포근하고, 안기고 싶은 어머니의 품과도 같은데, 또 다른 이름은 “비극의 출발점이요, 환자들의 집합소“가 될수 있습니다.. 가족에 대한 막연한 환상들이 조각 조각 나면서 재 조립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것. 아프고 슬픈 현실이지만. 그래도 가족이라는 포근함과 따뜻함. 엄마의 품을 찾아가야 한다. 이 가족시리즈를 통해, 우리 집은 튼튼한 가족인가? 점검해 보는 귀한 시간이 되었음은 합니다.

 

지은이는 서문에서 튼튼한 가족이란 부모의 성숙도가 높고, 어려움과 고통에 대처하는 기술이 유연하고 잘 발달되어 있으며. 좋은 대처 전략을 통해 고통스러운 시간을 단축하고 역기능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말한다. 건강한 가족은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데. 자신의 감정에 대하여 생각하고, 생각에 대하여 느낄 수 있는 자기분화가 잘 되어 있으며, 가족 안에서 반사행동과 비이성적 행동이 적다고 말한다.

 

1. 위기

부모들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며, 무엇을 이루어야 하는지 자신들이 믿는 있는 방식대로 자녀를 양육한다. 자녀는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자기 자신에 대한 핵심적인 믿음을 형성한다. 이 시대의 위기는 우리 부모들의 양육규칙에 인한 것이다. 이렇게 이어져 내려온 양육규칙은 아이들을 야단치고, 창피를 주는 방식인데. 아이들의 자존심을 파괴하고, 수치심을 심어준다. 수치심은 영혼의 병이다. 수치심은 일종의 자기 살해다. 수치심은 ‘네게 무언가 잘못 된 것이 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라면. 죄책감은 ‘내가 한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수치심은 내가 잘못된 존재라는 것이다. 아이가 부모로부터 버림을 당할 때도 수치심을 갖는데. 수치심을 아이는 생존을 위해 거짓 자기를 발달시킨다. 오늘날의 가족의 위기는 성인아이가 아이를 기르고 그 아이가 다시 성인아이가 되어버리는 위기다.

 

수치심은 외로움과 심리적 무감각 상태를 동반하게 되어 강박적/ 중독적 형태의 삶을 살도록 불을 붙이다. 더 많은 돈. 더 많은 음식, 더 많은 약물. 더 강한 흥분. 더 많은 게임, 더 많은 소유, 더 많은 황홀경을 원한다. 마치 굶주린 사람처럼. 하지만 강박적/중독적 행동은 ‘기분을 잠시 전환시켜 줄 뿐, 결국 자기 삶을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스위스 심리학자 앨리스 밀러는 ‘유해한 교육이란 자녀의 권리를 침해하는 형태의 양육’이며. 복종, 정리정돈, 청결. 그리고 감정과 욕구의 절제다. 이러한 유해한 교 육은 극심한 정서적 학대. 무시 또는 밀착으로 나타나고. 어린아이에게 처음부터 거짓된 정보와 신념을 심어준다.

 

유해한 교육에 노출된 아이들은 자신이 부모에게 양육을 받은 대로 자신을 돌본다. 만일 아이가 분노. 슬픔, 또는 성적인 느낌 때문에 부모에게서 창피를 당했다면. 자신이 그러한 것들을 느낄 때마다 스스로에게 창피를 줄 것이다. 아이가 이런 거짓 자기와 자신을 동일시 할 때. 자신의 진정한 감정. 필요, 욕구를 거의 의식하지 못하고 수치심이 내면화 된다. 수치심은 더 이상 감정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이 되는 것이다.

유해한 교육은 자녀를 일종의 소유물로 여기게 함으로써 은밀하게 모든 종류의 학대를 허가해 주고 있다. 불평등을 정당화 하는 것은 소유의 개념이다. 어린아이가 어떤 경우라도 부모에게 순종하고 부모를 존경해야만 한다고 하면 부모는 자녀들의 몸을 자기 마음대로 할수 있는 권리를 암묵적으로 갖게 되는 것이다.

 

절대복종. 비판을 통한 판단이나 내적 자유가 없는 복종은 나치즘. 종교적 집단 자살. 베트남 미하이 마을 대 학살로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의 감수성과 자연법칙에서 단절된 절대화된 복종이다. 내적인 자유와 내적인 독립성. 그리고 비판적인 판단이 없는 사려 깊은. 온유함. 이타심은 거의 모든 권위적인 인물에 의해서 지배를 당하는, 다른 사람의 비유나 맞추는 사람이 되게 한다.

 

제목 날짜
나는 죽고 예수로 사는 사람 2012.10.16
가족이란 2012.10.24
가족 2 2012.10.24
가족 3 2012.10.24
NAP 독소조항반대 홍보영상 2019.06.08
3월14일자 새언약교회 코로나19 대응알림 2020.03.19
2021년도 교회 절기 및 행정 2021.01.02
2021년 설날 가정 기도회 자료 2021.02.07
고신 헌법 2021.06.01
3대 공교회 신조 2021.06.01
2022년도 교회 절기 및 행정 2022.01.04
2022년 목회백서 2022.01.12
2022년 신년특별새벽기도회 및 기도제목 2022.01.12
2022년 전반기 수요기도회 커리큘럼 2022.01.12
2022년 설날 가정 기도회 자료 2022.01.29
2023년 목회백서 2023.01.05
2023년 교회 절기 및 행정 2023.01.05
2024년 목회백서 2024.01.02
2024년 교회 절기 및 행정 2024.01.02
2025년 목회백서 2025.01.19